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D1xX3%2FbtsLbmCYJWm%2FkGjPiXOFc8b2TYWi1FHi00%2Fimg.png)
오류 vs 예외오류(Error)컴퓨터 하드웨어의 오동작 또는 고장으로 인해 응용 프로그램 실행 오류 오류는 주로 JVM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따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. 따라서 외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. 예외(Exception)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혹은 개발자의 잘못된 코딩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로그램 오류 예외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발생하는 오류로, 예외가 발생했을 때 프로그램이 곧바로 종료된다는 점에서는 오류와 동일하지만 적절한 예외 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이 정상 실행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. Throwable 클래스자바에서 모든 오류와 예외의 최상위 클래스예외는 또다시 Checked Exception과 Runtime Exception으로 나뉜다. 예외(Exception)Checke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gfZZ4%2Fbtsy04NWkFd%2F78gmKSy6nLlnu1y99YVE8k%2Fimg.png)
python의 슬라이싱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조각 내어 부분 데이터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! 슬라이싱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법까지 익혀보자. 슬라이싱(slicing)이란? 연속적인 객체들(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)을 범위 지정으로 선택해서 객체들을 가져오는 방법 실행 결과 새로운 객체를 생성한다. Syntax 시퀀스[start:stop:step] Parameter Values 각 값들은 양수, 음수 모두 가질 수 있다. 인덱스 범위 data = ['a', 'b', 'c', 'd', 'e'] 위와 같은 리스트 객체 `data`가 있다고 할 때, 인덱스 범위는 다음과 같다. 슬라이싱 사용하기 시작, 끝 지점 사용하기 my_list = [1, 2, 3, 4, 5, 6, 7, 8] print(my_list[3:]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nswin%2FbtslvLnm6zS%2F2koYy0BQHoLMtdPKXGVbwk%2Fimg.png)
https://velog.io/@mmy789/Python-2%EC%B0%A8%EC%9B%90-%EB%A6%AC%EC%8A%A4%ED%8A%B8%EC%9D%98-%EC%B5%9C%EC%86%9F%EA%B0%92-%EC%B5%9C%EB%8C%93%EA%B0%92-%EA%B5%AC%ED%95%98%EA%B8%B0 [Python] 2차원 리스트의 최솟값, 최댓값 구하기 map과 min, max를 이용하여 2차원 리스트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해보자! velog.io ⬆️ 내가 과거에 작성했던 글인데,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고 작성한 글이라서 이번에 다시 정리해보려고 한다. 리스트에서 최댓값, 최솟값 구하기 리스트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로 max(), min()을 이용하는 방법이다. 알고리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SPWcU%2FbtskTHzC7BE%2FQ4HLyQHOIjnvJxK1c4frE1%2Fimg.png)
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값을 구할 때 소수점은 버리고 정수 부분만 원하거나 소수점 4째자리까지만 원하는 등 자릿수를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. 오늘은 이렇게 소수점 자릿수를 조절할 때 쓰이는 다양한 함수를 정리해보려고 한다. 올림, 내림, 버림 python에서 올림, 내림, 버림 기능을 사용하려면 math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. `math`: C 표준에서 정의한 수학 함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모듈 올림 - ceil() math.ceil(x) x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작은 정수인 x의 천장값(ceiling)을 반환한다. import math print(math.ceil(1.5)) # 2 print(math.ceil(-1.5)) # -1 내림 - floor() math.floor(x) x보다 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O2jhZ%2Fbtsj8iz8pUb%2FDKzI5HwxhMRzo6ZVJwUlr0%2Fimg.png)
문자 개수 세기 - count() 문자열 내부에서 특정 문자가 등장하는 횟수를 반환한다. 특정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, 0을 반환한다. [문자열].count(x) 문자열 전 범위에서 x가 등장하는 횟수를 반환한다. [문자열].count(x, start) 문자열 start index부터 시작해서 문자열 끝까지 x가 등장하는 횟수를 반환한다. [문자열].count(x, start, end) 문자열 start index부터 시작해서 end index 부분까지의 부분 문자열부터 x가 등장하는 횟수를 반환한다. 예제 s = 'banana' print(s.count('a')) # 3 print(s.count('a', 2)) # 2 print(s.count('a', 2, 4)) # 1 문자열 검색 find(sub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8Pghr%2Fbtsj7bnPdtn%2F83AmmsnnRkk6AERsB97evK%2Fimg.png)
입력 input() python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input()을 사용하는 것이다. s = input()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모든 것을 문자열로 저장한다. 프롬프트를 띄워서 사용자 입력 받기 number = 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: ") x진수 a = int(input(), 2) # 2진수 입력 b = int(input(), 8) # 8진수 입력 c = int(input(), 16) # 16진수 입력 sys.stdin.readline() 파이썬의 기본 input() 함수는 동작 속도가 느려서 입력의 개수가 많은 경우 시간 초과가 발생할 수 있다. sys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 있는 sys.stdin.readline() 함수는 input() 함수보다 더 빠르게 동작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