입력
input()
python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은 input()
을 사용하는 것이다.
s = input()
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모든 것을 문자열로 저장한다.
프롬프트를 띄워서 사용자 입력 받기
number = 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: ")
x진수
a = int(input(), 2) # 2진수 입력
b = int(input(), 8) # 8진수 입력
c = int(input(), 16) # 16진수 입력
sys.stdin.readline()
파이썬의 기본 input()
함수는 동작 속도가 느려서 입력의 개수가 많은 경우 시간 초과가 발생할 수 있다.
sys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 있는 sys.stdin.readline()
함수는 input()
함수보다 더 빠르게 동작한다.
한 개의 정수를 입력 받을 때
from sys import stdin
n = int(stdin.readline())
정해진 개수의 정수를 한 줄에 입력 받을 때 (다중 할당)
from sys import stdin
a, b, c = map(int, stdin.readline().split())
map()
은 반복 가능한 객체(리스트 등)에 대해 각각의 요소들을 지정된 함수로 처리해주는 함수- 출력 결과는 map이다.
map(int, input())
: 입력 받은 데이터를 int 형으로 형 변환 해준다.
split()
: 문자열을 일정한 규칙으로 잘라서 리스트로 만들어 주는 함수[문자열].split()
: 공백(스페이스, 탭, 엔터 등)을 기준으로 나눈다.[문자열].split(구분자)
: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눈다.[문자열].split(구분자, 분할 횟수)
: 구분자를 기준으로 분할 횟수 만큼 나눈다.
임의의 개수의 정수를 한 줄에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할 때
from sys import stdin
data = list(map(int, stdin.readline().split()))
list()
: 자료형을 리스트형으로 변환해주는 함수map()
은 맵 객체를 만들기 때문에 리스트형으로 변환하기 위해서list()
로 감싸는 것이다.
임의의 개수의 정수를 n줄 입력받아 2차원 리스트에 저장할 때
from sys import stdin
n = int(stdin.readline())
data = [stdin.readline().strip() for _ in range(n)]
strip()
은 문자열 맨 앞과 맨 끝의 공백 문자를 제거한다.
출력
print()
python에서 데이터를 출력하기 할 때 print()
를 사용한다.
a = 123
print(a) # 123
여러 값 출력하기
print(1, 2, 3) # 1 2 3
,
를 넣으면 각 값 사이에 공백이 한 칸씩 띄워진 상태로 출력된다.
print()의 optional parameter 사용하기
print(*objects, sep=' ', end='\\n')
sep
:print()
함수에 전달되는 여러 인수 사이의 구분 기호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. (default:" "
),
,\
등의 기호 뿐만 아니라abcd
,0
등 다양한 문자도 넣을 수 있다.print("a", "b", "c", seq=", ") # a, b, c print("One", "Two", "Three", sep="-->") # One-->Two-->Three
end
: 출력되는 각 행의 종료 문자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. (default:"\n"
)
다음과 같이 커스텀하여 사용할 수 있다.
a = 10
b = 5
c = 1
print(a, end="==" * a)
print(b, end="==" * b)
print(c, end="==" * c)
# 10====================5==========1==
줄 바꿈을 생략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된다.
print(1, 2, 3, end='')
print(4, 5, end='')
# 1 2 34 5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슬라이싱에 대해 알아보자! (0) | 2023.10.12 |
---|---|
[Basic] Python 2차원 리스트의 최댓값, 최솟값 구하기 (0) | 2023.06.27 |
[Math] 올림, 내림, 버림, 반올림 함수 (0) | 2023.06.22 |
[String] Python 문자열 메소드 정리 (0) | 2023.06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