🔗 문제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080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문제 설명 정수 num1, num2가 매개변수 주어집니다. num1과 num2를 곱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0 ≤ num1 ≤ 100 0 ≤ num2 ≤ 100 입출력 예 num1 num2 result 3 4 12 27 19 513 💻 Code def solution(num1, num2): return num1 * num2
🔗 문제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080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문제 설명 정수 num1,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um1을 num2로 나눈 몫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0 < num1 ≤ 100 0 < num2 ≤ 100 입출력 예 num1 num2 result 10 5 2 7 2 3 💻 Code def solution(num1, num2): return num1 // num2
🔗 문제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080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문제 설명 정수 num1과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두 수가 같으면 1 다르면 -1을 retru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0 ≤ num1 ≤ 10,000 0 ≤ num2 ≤ 10,000 입출력 예 num1 num2 result 2 3 -1 11 11 1 7 99 -1 💻 Code def solution(num1, num2): return 1 if n..
🔗 문제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080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문제 설명 정수 num1과 num2가 주어질 때, num1에서 num2를 뺀 값을 return하도록 soltu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50000 ≤ num1 ≤ 50000 50000 ≤ num2 ≤ 50000 입출력 예 num1 num2 result 2 3 -1 100 2 98 💻 Code def solution(num1, num2): return num1 - num2
오늘은 Python의 itertool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순열, 조합을 쉽게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! 개념 순열 (permutation) 서로 다른 n개에서 r를 선택하여 순서 있게 나열하는 것 이를 nPr로 표현한다. nPr = n! / (n - r)! (단, r
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값을 구할 때 소수점은 버리고 정수 부분만 원하거나 소수점 4째자리까지만 원하는 등 자릿수를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. 오늘은 이렇게 소수점 자릿수를 조절할 때 쓰이는 다양한 함수를 정리해보려고 한다. 올림, 내림, 버림 python에서 올림, 내림, 버림 기능을 사용하려면 math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. `math`: C 표준에서 정의한 수학 함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모듈 올림 - ceil() math.ceil(x) x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작은 정수인 x의 천장값(ceiling)을 반환한다. import math print(math.ceil(1.5)) # 2 print(math.ceil(-1.5)) # -1 내림 - floor() math.floor(x) x보다 ..